양념 게장과 간장 게장을 담궜습니다.
양념 게장은 사나흘 만에 이미 바닥이 났고 이제 간장 게장을
먹기 시작합니다.
누구나 좋아하는 게장.
담그는게 크게 어렵지 않지만 신선도와 간에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할 듯 하네요.
자아~ 시작해 볼까요?
싱싱한 꽃게를 4킬로그램 샀어요. 게 등딱지가 보라빛이나 푸른빛이 도는 아이들은 1년생 이하라서
살이 덜 여물다고 하더군요. 이렇게 누르스름 황갈색을 띄는게 나이가 좀 지긋한 꽃게랍니다.
배 아랫부분에도 선이 굵어요~
< 양 념 게 장 >
숫게이군요. 양 옆 지느러미와 중앙의 모래주머니, 입 등을 떼내고 다리끝도 가위로 다듬어 줍니다.
적당한 크기로 토막을 내어 참기름과 매실 엑기스를 뿌려서 잠깐 냉동고에 넣어 둡니다.
어르신들은 참기름이 해독을 한다는데 전 고소한 맛이 스며드라고..차라리 해독은 매실에게
맡겨 보았습니다.^^
배 반 개, 양파 한 개, 마늘 반 컵, 생강 1쪽, 청홍고추, 진간장, 고춧가루, 물엿(또는 꿀), 설탕 약간
깨소금. 쪽파. 꽃당근...
배와 양파를 갈고~
거기에 홍고추와 고춧가루, 마늘 생강을 더 넣고 다시 갈아주세요~
갈아놓은 다대기 양념에 벌꿀이나 물엿. 설탕을 약간 넣고 진간장, 깨소금을 넣고 간을 맞춘 후
토막낸 게와 풋고추, 쪽파, 당근 등을 함께 섞어 골고루 버무려 줍니다.
완성~ 하루 지나서 곧바로 먹을 수 있어요..
양념게장 국물에 밥 비벼 먹어 보아요.
밥 도둑이 따로 없어요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< 간 장 게 장 >
간장게장의 생명은 꽃게의 신선도와 간장 맛이 좌우하지요.
아주 신선한 꽃게 (암게가 더 좋아요)를 골라 깨끗이 솔로 씻어 물기를 빼 주고 우선 냉동 보관~
한방 간장소스에 들어갈 재료입니다.
대추, 계피, 당귀, 감초, 황기, 건고추, 생강, 마늘,,,,,,,,,,,,
*주의: 계피가 많이 들어가면 족발간장 냄새가 나버리지요. 조금만 넣으세요.
꽃게 2킬로 기준: 진간장 1.8리터. 생수 1리터, 벌꿀 또는 물엿, 설탕 약간
준비한 재료 넣어 약재가 우러나오도록 뭉근히 끓이세요.
간을 보고 약간 달콤짭쪼롬 하다 싶게 간을 맞춘 후 불을 끄고 차게 식히세요. 전 선풍기로~^^
끓인 간장은 체에 받힌 후 식혀서 1밀리미터 두께로 썬 마늘편, 생강편, 간장 끓일 때
떠오른 대추 건진 것. 켜켜이 넣어주며 꽃게를 유리병에 담은 후 완전히 식힌 간장물을
부어 줍니다. (간장 끓이는 동안 꽃게는 당연히 냉장고에~^^)
24시간 만에 한번씩 따라내어 다시 끓여 완전히 식힌 후 붓는 것을 저는 여름철이라서
5회 반복했습니다.
양념게장 다 먹고 나서 간장 게장을 꺼내니 타임이 딱 들어 맞네요.
깊이가 약간 있는 넓은 접시에 먹기 좋은 크기로 꽃게를 잘라 담고 간장국물을 적당히
끼얹어 줍니다. 대추는 짜지도 않아서 집어 먹으면 그것도 별미입니다.
**여름에는 간장게장이 쉬 변할 수 있으니 게는 건져서 냉동칸에 넣어두고
한 마리씩 꺼내 드시는게 좋습니다,
물론 간장은 냉장고에 보관하시구요~
밥맛을 잃기 쉬운 여름철.
주부가 조금만 수고하면 이리 맛깔스러운 반찬이 완성되네요..
여러분은
양념게장과 간장게장. 둘 가운데 어떤 걸 더 좋아 하시나요?
'조물조물 냠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@ 초간편 치즈 오므라이스 & 방아잎 야채전 (0) | 2006.07.25 |
---|---|
@이열치열 추어탕.. (0) | 2006.07.16 |
@시원 깔끔 <냉모밀 국수> (0) | 2006.07.08 |
@1,000원으로 근사한 곤약조림 만들기 (0) | 2006.07.06 |
@싸게 만들어 먹는 등심 스테이크 (0) | 2006.07.04 |